-
1
-
원천석의 불교관
-
박해당;
;
(태동고전연구,
v.34,
2015,
pp.129-156)
-
2
-
『현정론』과 『유석질의론』의 삼교론
-
박해당;
서울대학교;
(불교학연구,
v.10,
2005,
pp.173-202)
-
3
-
조선후기 유학자들의 불교관 -승려 문집의 서문을 중심으로-
-
박해당;
;
(태동고전연구,
v.28,
2012,
pp.207-232)
-
4
-
15세기 불교계의 동향과 기화에 의한 지눌 사상의 계승
-
박해당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보조사상,
v.0,
2016,
pp.15-59)
-
5
-
『현정론』과 『유석질의론』의 삼교론
-
박해당;
서울대학교;
(불교학연구,
v.10,
2005,
pp.173-202)
-
6
-
원천석의 불교관
-
박해당;
서울대학교;
(태동고전연구,
v.34,
2015,
pp.129-156)
-
7
-
조선후기 유학자들의 불교관 -승려 문집의 서문을 중심으로-
-
박해당;
한림대학교;
(태동고전연구,
v.28,
2012,
pp.207-232)
-
8.
- 마태공동체와 순회 선교사들(Wandering charismatics)의 관계성 연구
- 이성혜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84p., 1991
-
9.
- 사도행전에 나타난 예루살렘교회의 성장연구
- 김성표
-
총회신학연구원, 국내석사,
53p., 1990
-
10.
- 최인훈 희곡의 정치성 연구
- 장지영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9 p., 20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