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「박통사」 번역 문헌류에 나타난 오류 양상 분석
- 양린린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86 p., 2012
-
2
-
『번역 박통사』와 『번역 노걸대』 바로읽기를 위한 제언
-
양영희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9,
2003,
pp.155-172)
-
3.
- 《박통사》언해본의 역음에 반영된 중국어 음운변화 현상 연구 : 구개음화와 입성운을 중심으로
- 이광녕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127 p., 2012
-
4
-
고대조선, 유구한어교재연구적당대가치 -이《노걸대》,《박통사》,《백성관화》위례 -
-
왕경운;
;
(中國人文科學,
v.25,
2002,
pp.79-86)
-
5
-
(노걸대) (박통사)에 보이는 접미사 (아)과 (자)의 연구
-
박숙경;
;
(中語 中文學,
v.12,
1990,
pp.351-389)
-
6.
- <박통사> 언해본의 형태·통사 변화 연구
- 김수정
-
건국대학교, 국내석사,
ii, 100p., 2002
-
7.
- 조건·가정 연결 어미 ‘-거든’의 통시적 변화 유형에 대한 연구 : -『소학』·『삼강행실도』·『노걸대』·『박통사』이본 자료를 중심으로
- 백효동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78 p., 2016
-
8
-
⟨노걸대⟩와 ⟨박통사⟩
-
정광;
고려대학교;
(인문언어,
v.15,
2013,
pp.11-57)
-
9
-
⟨박통사⟩류 문체 연구
-
박청희;
고려대학교;
(한말연구,
v.0,
2007,
pp.103-124)
-
10
-
<<번역박통사(상)>>에 나타난 중국어 표기법의 역사적 이해
-
이정일;
;
(한국어문학연구 =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40,
2003,
pp.29-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