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서양 중세철학에 있어서 철학사와 철학함의 관계 - 박우석, 「중세철학의 수용과 한국철학의 정립」을 읽고
-
황필호;
;
(哲學,
v.56,
1998,
pp.367-392)
-
2
-
스코투스적 양상 형이상학의 모색
-
박우석;
;
(哲學,
v.57,
1998,
pp.83-93)
-
3
-
Scotus, Frege, 그리고 Bergmann - 個體化의 올바른 理解를 위한 豫備的 考察
-
박우석;
;
(哲學,
v.36,
1991,
pp.137-159)
-
4
-
사고실험의 논리
-
박우석;
김혜련;
;
(哲學,
v.58,
1999,
pp.305-329)
-
5
-
논리적인 것과 논리-외적인 것
-
박우석;
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;
(논리연구= Korean journal of logic,
v.2,
1998,
pp.7-33)
-
6
-
중세철학에서 무한의 문제 - 예비적 고찰
-
박우석;
;
(哲學探究 = Philosophical investigation,
v.26,
2009,
pp.63-85)
-
7
-
제르멜로와 공리적 방법
-
박우석;
카이스트, 인문사회과학부;
(논리연구= Korean journal of logic,
v.11,
2008,
pp.1-56)
-
8
-
수아레즈 - 분수령인가 연결고리인가?
-
박우석;
;
(인문학연구 = Studies in the humanities :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,
v.46,
2012,
pp.147-189)
-
9
-
명제 태도의 퍼즐들:Zalta 의 타협안
-
박우석;
한국과학기술원 교양과정부;
(인지과학 =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,
v.6,
1995,
pp.31-46)
-
10
-
허구론적 수리철학의 허구적 메타논리학
-
박우석;
;
(哲學,
v.40,
1993,
pp.357-39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