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인도경제 잠재력 평가와 대응
-
박번순;
;
(高友經濟: 高麗大學校經濟人會 會報,
v.25,
2006,
pp.22-27)
-
2
-
한국의 FTA의 필요성
-
박번순;
;
(高友經濟: 高麗大學校經濟人會 會報,
v.25,
2006,
pp.6-10)
-
3
-
FTA와 대외무역변화에 대해
-
박번순;
;
(高友經濟: 高麗大學校經濟人會 會報,
v.23,
2004,
pp.23-28)
-
4
-
동북아 경제구조의 지형변화 전망 : 동북아 핵심경제지역의 발전 전망과 연계망 구축(Ⅰ)-지역현황 및 발전 전망과 지역연계 분석, Development Prospects for and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the Core Economic Regions in Northeast Asia(Ⅰ)-Development Prospects and inter-Regional and Linkages , 김원배 지음
-
박번순;
;
(국토 = Planing and policy,
v.317,
2008,
pp.142-143)
-
5
-
태국의 새정부 성격과 경제정책
-
박번순;
;
(한국태국학회논총 =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Thai studies,
v.5,
1994,
pp.101-126)
-
6
-
한국기업의 대중국 투자 특성과 시사점
-
박번순;
;
(국토 = Planing and policy,
v.278,
2004,
pp.35-46)
-
7
-
EAVGⅡ 이후의 대 아세안+3 협력
-
박번순;
홍익대학교;
(동아연구,
v.32,
2013,
pp.11-50)
-
8
-
Southeast Asia's Response to Resurging Protectionism
-
박번순,;
;
(동남아시아연구 = The Southeast Asian Review,
v.27,
2017,
pp.161-192)
-
9
-
<기획좌담> 1990년대 이후 한국의 동남아연구:학문분야별 회고와 성찰
-
오명석;
김형준;
최호림;
최병욱;
김영애;
박사명;
정연식;
박은홍;
배긍찬;
박번순;
서울대학교;
강원대학교;
서강대학교;
인하대학교;
한국외국어대학교;
강원대학교;
창원대학교;
성공회대학교;
외교안보연구원;
삼성경제연구소;
(동남아시아연구,
v.18,
2008,
pp.331-399)
-
10
-
EAVGⅡ 이후의 대 아세안+3 협력
-
박번순;
홍익대학교;
(동아연구,
v.32,
2013,
pp.11-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