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박규수, 「벽위신편평어」
-
Myoungho Kim,;
;
(개념과 소통,
v.10,
2012,
pp.361-367)
-
2
-
1861년 열하문안사행과 박규수
-
김명호;
;
(韓國文化,
v.23,
1999,
pp.1-32)
-
3
-
박규수와 고종의 정치적 관계 연구
-
강상규;
;
(동양정치사상사,
v.11,
2012,
pp.119-147)
-
4.
- 19세기 중엽의 「開國」論 연구 : 박규수를 중심으로
- 이수연
-
이화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v, 93 p., 2001
-
5
-
사대ㆍ중화질서 관념의 해체과정 - 박규수를 중심으로
-
정용화;
;
(國際政治論叢,
v.44,
2004,
pp.95-115)
-
6
-
환재 박규수와 시무(時務)의 국제정치학 - 중국관과 한중관계 요인을 중심으로
-
김성배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46,
2012,
pp.5-30, 317)
-
7
-
박규수, 「벽위신편평어」
-
김명호;
서울대학교;
(개념과 소통,
v.0,
2012,
pp.361-367)
-
8
-
박규수의 개화사상의 성격
-
金信在;
;
(慶州 史學 = Kyong-Ju Sa Hak,
v.19,
2000,
pp.195-223)
-
9
-
박규수를 통해서 본 19세기 조선사회 김명호, 『환재 박규수 연구』, 창비, 2008
-
연갑수;
서울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9,
pp.400-405)
-
10
-
박규수, 김윤식, 유길준의 실학정신과 한국사상사
-
;
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4,
pp.145-1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