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표지인물 - '민족생활어사전' 펴낸 이훈종박사
-
김중식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121,
1993,
pp.4-5)
-
2
-
지역어 실태 조사 현황 및 디지털 방안 모색 - 지역어 조사와 민족 생활어 조사를 중심으로 -
-
김지숙;
경성대학교;
(어문연구,
v.115,
2023,
pp.5-39)
-
3
-
민족 생활어 조사 사업 개관
-
강정희;
한남대학교;
(방언학,
v.0,
2016,
pp.5-27)
-
4
-
민족생활어 어촌 생활어 성과와 활용 방안 -3년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-
-
김지숙;
경성대학교;
(방언학,
v.0,
2017,
pp.61-94)
-
5
-
민족 생활어 조사: 남사당패 어휘
-
장충덕;
충북대학교;
(방언학,
v.0,
2016,
pp.29-59)
-
6
-
김치류 관련 어휘 연구 - 2008년 민족 생활어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-
-
홍기옥;
경북대학교;
(방언학,
v.0,
2016,
pp.61-99)
-
7
-
어촌 생활 기초어휘 자료 정리 방법 분석 -국립국어원 ‘민족생활어 조사’를 중심으로-
-
박원호;
한남대학교;
(방언학,
v.0,
2017,
pp.35-60)
-
8
-
지역어 실태 조사 현황 및 디지털 방안 모색 - 지역어 조사와 민족 생활어 조사를 중심으로 -
-
김지숙;
경성대학교;
(어문연구,
v.115,
2023,
pp.5-39)
-
9
-
동해안 어촌 지역의 언어 문화 연구
-
김지숙;
경성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19,
2018,
pp.29-55)
-
10.
- 남․북한 문학사에서 본 실학파 문학의 평가
- 이슬이
-
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55p, 20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