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역사소비의 시대, 용산 시민역사 길라잡이 - 이순우, 『용산, 빼앗긴 이방인들의 땅 1,2』 (민족문제연구소, 2022)을 읽고 -
-
서, 일수;
;
(역사연구,
v.44,
2022,
pp.287-292)
-
2
-
강제동원 피해자의 ‘고통’, 그리고 ‘인권’과 ‘존엄’
-
김영환;
민족문제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23,
pp.89-101)
-
3.
- 1980년대 민족영화운동 : 민족영화연구소와 한겨레영화제작소를 중심으로
- 김명우
-
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22장, 2023
-
4
-
재판 관련 기록으로 본 화성 장안·우정면 3·1만세운동
-
이용창;
사단법인민족문제연구소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18,
pp.37-86)
-
5
-
지식인의 월북과 남북 국어학계의 재편 : 언어정책을 중심으로
-
이준식;
민족문제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14,
pp.1-28)
-
6
-
민족영화연구소와 한겨레영화제작소의 조직과 활동
-
김명우;
한상언영화연구소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0,
2024,
pp.393-429)
-
7
-
일제 말부터 해방 이후 김동인 문학에 나타난 친일의 내적 논리
-
김희진;
숭실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22,
pp.159-193)
-
8
-
東學敎團과 (合同)一進會의 일본 유학생 파견과 '斷指同盟'
-
이용창;
민족문제연구소;
(동학학보,
v.0,
2011,
pp.163-211)
-
9
-
일제말 파시즘기(1937~1945) 『매일신보』의 대중선동 양상과 논리 -지원병ㆍ징병제도를 중심으로-
-
박수현;
민족문제연구소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0,
2011,
pp.239-272)
-
10
-
뒤늦은 국가차원의 친일청산: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
-
이준식;
민족문제연구소;
(법과사회,
v.0,
2015,
pp.33-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