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,025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김사엽의 민요관과 민요 조사․연구의 특징
-
권오경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34,
2012,
pp.7-35)
-
2
-
일제 강점기 민요 창작론과 창작민요의 특성
-
최은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24,
2008,
pp.193-218)
-
3
-
≪도서지역 민요≫와 문화관광 - 〈신안민요〉ㆍ〈완도민요〉ㆍ〈진도민요〉를 중심으로
-
홍순일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17,
2005,
pp.311-355)
-
4
-
해방 후 남ㆍ북한의 혼종적 음악하기 - 통속민요와 신민요, 그리고 창작민요를 중심으로
-
이소영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29,
2010,
pp.301-374)
-
5
-
주암댐 유역의 민요(民謠)(I)
-
이소라;
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20,
1987,
pp.239-278)
-
6.
- 昑?民謠硏究
- 羅承晩
-
全南大學校, 국내석사,
201 p., 1983
-
7
-
민요 가창자의 전승과 소통
-
이창식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31,
2011,
pp.185-234)
-
8
-
민요와 창작
-
오용록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10,
2002,
pp.193-207)
-
9
-
주암댐 유역의 민요(民謠)(II)
-
이소라;
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21,
1988,
pp.122-172)
-
10
-
식민지 근대의 잡가와 민요
-
이소영;
;
(韓國音樂硏究,
v.46,
2009,
pp.215-2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