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3건 중 183건 출력
, 1/19 페이지
-
1
-
책이 있는 현장-교보문고 25주년 복합 지식문화공간 지향
-
송보경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368,
2006,
pp.78-79)
-
2
-
1960년대 ‘독서문화’의 기반과 마을문고 보급운동
-
윤상길;
신한대학교;
(한국출판학연구,
v.40,
2014,
pp.117-138)
-
3
-
[서평] 민족문화사연구의 새로운 발단-중국소수민족문고 <<조선족문화> >에 대하여</조선족문화>
-
리득춘;
;
(중국조선어문 = Korean Language in China,
v.51,
1990,
pp.41-42)
-
4
-
犬井正 : 人と緑の文化誌 (みよしほたる文庫, 第2巻)
-
;
;
(Journal of Geography (Chigaku Zasshi),
v.102,
1993,
pp.624-625)
-
5
-
古文書로 살펴본 조선시대의 기록문화(Ⅰ) - 남재문고 소장 고문서자료의 유형과 특징
-
남권희;
옥영정;
;
(社會科學 :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,
v.15,
2003,
pp.23-66)
-
6
-
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所蔵伊藤義教文庫の開設
-
AOKI, Takeshi;
;
(オリエント = Bulletin of the Society for Near Eastern Studies in Japan,
v.46,
2003,
pp.245-248)
-
7.
- 대형서점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 체험 특성 연구 : 일본의 츠타야와 한국의 교보문고 비교분석을 중심으로
- 김지하
-
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14 p., 2019
-
8
-
金奎植의 生涯 李庭植 著 新丘文庫 pp.240 新丘文化社, 1974.5. 刊行
-
李基東;
;
(歷史 學報,
v.64,
1974,
pp.140-143)
-
9
-
주제별 분류 가곡 가집,『古今歌曲』의 문화도상 탐색 -마에마 교오사쿠[前間恭作] 轉寫 東洋文庫本을 대상으로-
-
성무경;
한국예술종합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0,
2005,
pp.255-298)
-
10.
- 일본어학습자를 위한 대역문고에서 나타난 문화관련 등가분석 : 다락원 「女生徒」를 중심으로
- 김연희
-
부산외국어대학교, 국내석사,
, 20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