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심원(心遠) 송복 교수와의 대담: 문사철(文史哲)의 동양사상, 한국사회와 인간을 만나다*
-
정, 학섭;
유, 승무;
최, 우영;
정, 승안;
이, 명호;
박, 수호;
;
(사회사상과 문화 = Jou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,
v.26,
2023,
pp.1-58)
-
2
-
문·사·철 활용 한자교수법을 위한 제언
-
안승웅;
김정필;
부산대학교;
경상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15,
pp.213-236)
-
3
-
한국인의 궁극적 실재에 대한 궁극적 관심, 이경원, 『한국의 종교사상-궁극적 실재의 제문제』, 문사철출판사, 2010
-
최영진;
;
(韓國民族文化,
v.2011,
2011,
pp.425-430)
-
4
-
낯선 유럽 영유아극에 대한 안내서 ―강윤아, 『유럽 영유아극 예술가들과의 대화 : 영유아극 연구』(문사철, 2023)
-
손증상;
국립부경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23,
pp.209-219)
-
5
-
『오딧세이아』의 교육학적 해석 시론: 문・사・철 통합
-
장지원;
충남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44,
2022,
pp.247-272)
-
6
-
미래지향적 한국어 말하기·듣기 교육의 담론: 문사철, 첨단기술, 스토리텔링의 복합을 도모하며
-
지현숙;
배재대학교;
(화법연구,
v.0,
2015,
pp.395-415)
-
7
-
낯선 유럽 영유아극에 대한 안내서 ―강윤아, 『유럽 영유아극 예술가들과의 대화 : 영유아극 연구』(문사철, 2023)
-
손증상;
국립부경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23,
pp.209-219)
-
8
-
An Educational Analysis on Odyssey
-
Chang, Chi Won;
;
(敎育哲學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,
v.44,
2022,
pp.247-272)
-
9
-
식민지 조선의 고등교육체계와 문·사·철의 제도화, 그리고 식민지 공공성
-
신주백,;
;
(韓國敎育史學=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,
v.34,
2012,
pp.57-81)
-
10
-
중국정치사상에 대한 중국 내 연구동향
-
장현근;
;
(동양정치사상사,
v.3,
2004,
pp.79-9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