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김숙자춤의 무용예술사적 의의 고찰
-
정성숙;
한국체육대학교;
(한국무용교육학회지,
v.22,
2011,
pp.101-114)
-
2
-
최승희 무용극 연구: 작품 분석 및 공연예술사적 의의를 중심으로
-
동경원;
한국예술종합학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14,
pp.151-205)
-
3
-
김숙자춤의 무용예술사적 의의 고찰
-
정성숙;
한국체육대학교;
(한국무용교육학회지,
v.22,
2011,
pp.101-114)
-
4
-
중국 조선민족 무용의 근대 예술사적 고찰
-
김승일;
정영주;
중앙대학교;
북경민족대학교;
(한국체육학회지,
v.44,
2005,
pp.747-758)
-
5
-
高麗舞踊의 藝術史的 硏究
-
배성한;
;
(대한무용학회 논문집,
v.0,
2004,
pp.113-149)
-
6
-
최승희 무용극 연구: 작품 분석 및 공연예술사적 의의를 중심으로
-
동경원;
한국예술종합학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14,
pp.151-205)
-
7
-
高麗舞踊의 藝術史的 硏究
-
배성한;
벽사춤아카데미;
(대한무용학회 논문집,
v.0,
2004,
pp.113-149)
-
8.
- 무형문화재 태평무 보유자의 예술사 탐색
- 양승미
-
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3 p., 2008
-
9
-
중국 신장(新疆)지역 위구르족(維吾爾族) 사발춤(頂碗舞)의 형성 과정으로 본 춤 문화 원형의 요소와 특성
-
영지;
한양대학교 무용학과;
(무용역사기록학,
v.70,
2023,
pp.73-98)
-
10.
- 학문-기반 예술교육이론에 기초한 창작무용교수-학습과정모형개발 :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
- 최민원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59p., 199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