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263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상쇠 ‘홍박씨’와 무당 ‘명두’ 비교
-
시지은;
;
(한국무속학 = Korean shamanism,
v.24,
2012,
pp.149-172)
-
2
-
무당 생애담의 서사성과 의미 - 이경화 무당을 중심으로
-
표인주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54,
2011,
pp.343-375)
-
3.
-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에 재현된 무당 연구
- 김민정
-
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03 p., 2014
-
4
-
한국인의 원형상과 무당
-
설중환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28,
2008,
pp.255-282)
-
5
-
韓國人의 굿과 무당
-
황루시;
;
(比較民俗學 = Asian Comparative Folklore,
v.4,
1989,
pp.174-175)
-
6
-
인천 지역 무당집단의 형성과 특징
-
이용식;
전남대학교;
(인천학연구,
v.1,
2012,
pp.183-218)
-
7.
- 무당의 종교체험(宗敎體驗)과 꿈의 기능 : 무당 K씨의 생애사를 중심으로
- 진수현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71 p., 2011
-
8
-
『무당내력(巫黨來歷)』의 무당(巫堂) 신격(神格)과 무복(巫服) 연구
-
안현주;
조우현;
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;
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;
(服飾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,
v.69,
2019,
pp.141-160)
-
9
-
The Pattern of Re-education of Shamans in Modern Korean Shamanism: Centered on the ‘Mudang School’
-
LEE, JongWoo;
;
(宗敎 硏究 = Studies in religion,
v.81,
2021,
pp.137-165)
-
10
-
시간과 무당
-
보드윈 왈라벤;
네덜란드 라이덴 국립대학교;
(인문과학,
v.71,
1994,
pp.333-3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