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『말테의 수기』의 서술문제 연구
- 이현정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60p., 2002
-
2
-
릴케의 「말테의 수기」에 나타난 자아와 정체성의 문제
-
김창준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8,
2001,
pp.73-108)
-
3
-
릴케의 「말테의 수기」에 나타난 자아와 정체성의 문제
-
김창준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01,
pp.73-108)
-
4.
- 말테의 수기 연구 : 내용과 형식을 중심으로
- 장미령
-
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7p., 1996
-
5.
- 릴케의 [말테의 수기]에 나타난 시대 인식과 서술의 문제
- 김선향
-
경상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46p, 1998
-
6
-
‘돌아온 탕자’의 모티브 재해석 – 릴케의『말테의 수기』 중 ‘잃어버린 아들’의 전설을 중심으로
-
송희영;
동덕여자대학교;
(독어교육,
v.85,
2022,
pp.139-158)
-
7
-
Die neue Interpretation des Motives ‘des verlorenen Sohnes’ - Die Legende des verlorenen Sohnes von Rilkes Die Aufzeichnungen des Malte Laurids Brigge
-
Song, Hi-Young;
;
(獨語敎育= Koreanische zeitschrift fur Deutschunterricht,
v.85,
2022,
pp.139-158)
-
8
-
Rilkes Malte als moderner poetologischer Roman
-
백인옥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0,
2009,
pp.200-221)
-
9.
- Rilkes Poetik des 'neuen' Sehens in den 'Aufzeichnungen des Malte Laurids Brigge' und in den 'Neuen Gedichten' : Paek, In-Ok
- Paek, In-Ok
-
Univ. Konstanz, 국외박사,
, 1996
-
10
-
Geschichte der Liturgik-Liturgiewissenschaft in Deutschland
-
말테 리노;
루터대학교;
(신학과 실천,
v.0,
2008,
pp.245-28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