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일제 암흑기 만보산사건과 소설적 재현 양상 연구
-
용석원;
;
(통일인문학논총 = The journal of humanities for unification,
v.50,
2010,
pp.147-173)
-
2.
- 만보산사건(1931) 직후 화교배척사건과 배일운동의 성격
- 최효명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3 p., 2015
-
3
-
소설로 분광된 ‘만보산사건’ 읽기 - 이토 에노스케(伊藤永之介)의 「만보산」을 중심으로
-
노상래;
;
(人文硏究,
v.57,
2009,
pp.389-416)
-
4
-
만보산 사건과 중국인의 조선인식
-
이준식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2,
2012,
pp.237-270)
-
5
-
만보산 사건과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의 중국 인식
-
윤상원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2,
2012,
pp.271-296)
-
6
-
만보산사건과 한·일 소설의 대응 —「萬宝山」·「農軍」·「벼」를 중심으로
-
장영우;
동국대학교;
(한국문예창작,
v.6,
2007,
pp.175-203)
-
7
-
서평 : 박영석 저 『만보산사건연구』- 일제대륙침략정책의 일환으로서 -
-
이용범;
;
(亞細亞 硏究,
v.22,
1979,
pp.209-213)
-
8
-
장학량정권의 對韓人政策-만보산 사건’의 遠因을 찾아서-
-
송한용;
전남대학교;
(만주연구,
v.0,
2011,
pp.35-70)
-
9
-
⟨농군⟩과 만보산사건
-
장영우;
동국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06,
pp.151-172)
-
10
-
동아시아 "타자" 형상 비교 연구 - 만보산 사건을 수용한 한중일 소설을 중심으로
-
金昌鎬;
;
(中國 現代 文學 = The Journal of Modern Chinese Literature,
v.2004,
2004,
pp.379-4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