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셰익스피어의 『루크리스의 능욕』에 나타난 사랑과 정조의 알레고리
-
Cho Kwang Soon;
;
(Shakespeare review,
v.2001,
2001,
pp.453-474)
-
2.
- “경축으로서의 설교”가 가지는 신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: 헨리 미첼과 루크 파워리의 설교이해를 중심으로
- 장성식
-
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90, 2021
-
3
-
자기 함양에 관한 의문 : 푸코, 루크스, 권력
-
Rasmussen , Kim-Su;
;
(大同哲學= Daedong chulhak,
v.79,
2017,
pp.123-145)
-
4
-
남녀의 주체성 비교 : 『루크리스의 능욕』의 여성주의
-
이인직;
;
(신영어영문학 = The New studies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30,
2005,
pp.121-138)
-
5
-
『루크리스의 능욕』에 나타난 루크리스의 이야기하기
-
Youngwhoe Koo;
;
(Shakespeare review,
v.39,
2003,
pp.505-522)
-
6
-
미국 윙루크 뮤지엄 -21세기 커뮤니티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-
-
신자은;
동국대학교;
(박물관학보,
v.0,
2019,
pp.93-117)
-
7
-
정보테크놀로지, 전자감시, 그리고 프라이버시 위기 - 푸코와 루크스의 권력개념을 중심으로
-
김동윤;
;
(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,
v.18,
2006,
pp.43-68)
-
8
-
사실적 기억과 감정적 기억 - W.G. 제발트와 노라 크루크의 기억서사 비교 분석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3,
2022,
pp.5-30)
-
9
-
독일 세대전환기 기억문화의 역사적 책임의식과 자기정체성 문제 - 크루크의 ⟨고향. 어느 독일 가족앨범⟩ 에 대한 비판적 분석
-
임석원;
이화여자대학교;
(독일현대문학,
v.0,
2021,
pp.161-187)
-
10
-
‘깨져버린 가엾은 거울’: 루크리스의 슬픈 이야기와 자아
-
조혜영;
한국외국어대학교;
(Shakespeare Review,
v.56,
2020,
pp.121-14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