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토니 모리슨의 『타르 베이비』에서의 흑인공동체
-
두창준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13,
2005,
pp.63-75)
-
2
-
게일 존스의 『콜레지도라』: 흑인 여성의 몸, 기억, 그리고 블루스
-
두창준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16,
2006,
pp.103-130)
-
3
-
루이스 어드릭의 『사랑의 묘약』 - 이야기 속에 함유된 치유의 언어
-
두창준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26,
2009,
pp.303-318)
-
4
-
벽에 갇힌 꿈 그리고 치유: 브루스터플레이스의 여자들
-
두창준;
경기과학기술대학교;
(영어영문학연구,
v.40,
2014,
pp.87-115)
-
5
-
『그들의 눈은 신을 보고 있었다』에서의 자아탐구
-
두창준;
;
(영어영문학연구,
v.47,
2005,
pp.167-191)
-
6
-
게일 존스의 『콜레지도라』: 흑인 여성의 몸, 기억, 그리고 블루스
-
두창준;
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06,
pp.103-130)
-
7
-
윌라 캐더의 『종달새의 노래』: 풍경 속에 담긴 여성의식
-
두창준;
;
(영어영문학연구,
v.46,
2004,
pp.1-17)
-
8
-
루이스 어드릭의 『사랑의 묘약』 - 이야기 속에 함유된 치유의 언어
-
두창준;
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09,
pp.303-318)
-
9
-
윌라 캐더의 『종달새의 노래』: 풍경 속에 담긴 여성의식
-
두창준;
서원대학교;
(영어영문학연구,
v.46,
2004,
pp.1-17)
-
10
-
루이스 어드릭의 『사랑의 묘약』 - 이야기 속에 함유된 치유의 언어
-
두창준;
서원대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09,
pp.303-31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