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동아시아학술원 20년 철학방면 연구성과 ― 유학과 경학 방면 연구를 중심으로
-
이영호;
김도일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0,
pp.181-210)
-
2
-
明代 叢書 『今獻彙言』의 조선 유입과 그 영향
-
오보라;
고려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25,
pp.251-288)
-
3
-
『越南漢文燕行文獻集成』 분석의 한 시각 - 『星槎紀行』과 『華程後集』에 나타난 朝·越 문인 교류를 중심으로
-
김영죽;
;
(한자한문연구,
v.7,
2011,
pp.239-267)
-
4.
- 음식문화로 본 도교 양생철학에 대한 일고찰
- Yang, Juan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77 p., 2023
-
5
-
조선시대 「大明一統志」의 수용과 활용
-
김소희;
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;
(서지학연구,
v.0,
2021,
pp.79-95)
-
6
-
간백 발견의 역사
-
이승률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6,
2007,
pp.209-251, 309-310)
-
7.
- 18세기 전기 표류를 통한 해외 정보의 유입과 지식화 : 漂流記事 纂輯書를 중심으로
- 최영화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97 p., 2013
-
8
-
아시아재단의 “Korean Research Center(KRC)” 지원 연구-사회과학연구도서관(1956)/한국연구도서관(1958)/한국연구원(1964)으로의 전개를 중심으로-
-
정종현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6,
pp.57-108)
-
9
-
越南의 중국 使行文獻 자료 개관 및 연구 동향 점검
-
최귀묵;
숙명여자대학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0,
2011,
pp.123-156)
-
10
-
한문 고전서사의 문화적 전환과 번역 - 국문본 『태평광긔』를 중심으로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코기토,
v.72,
2012,
pp.47-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