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곡물도정업 사업장의 유해·위험방지계획서 제출 활성화 방안 연구 : 미곡처리장 중심
- 윤철환
-
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ⅸ, 80 p., 2022
-
2
-
開港~日帝强占 前期(1899~1933) 群山 地域 搗精業의 推移와 地域的 特徵
-
김태웅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13,
pp.39-75)
-
3.
- 쌀산업의 변화에 따른 산지 유통 개선방향
- 김근영
-
中央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147p., 2002
-
4.
- 만주어 격 표지 be의 기능 연구
- 도정업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81 p., 2018
-
5.
- 어간말 'ㄹ'탈락에 대한 통시적 고찰
- 도정업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8 p., 2007
-
6
-
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문법 대조 - 격 표지와 어미를 중심으로 -
-
도정업;
;
(동양학,
v.0,
2019,
pp.185-206)
-
7
-
종결형으로 쓰인 만주어 분사 어미 –rA의 기능
-
도정업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언어학,
v.0,
2022,
pp.3-30)
-
8
-
만주어 복합 시제 형태 분석 - 만주 - 퉁구스 언어의 복합 시제 형태와 관련하여
-
도정업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동양학,
v.0,
2021,
pp.85-112)
-
9
-
만주어 구어 원망법 어미 변화의 한 양상 —시버어 구어와 대조적 관점에서—
-
도정업;
서울대학교;
(알타이학보,
v.0,
2020,
pp.35-53)
-
10
-
언어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만주어 첨사 dere의 추론 증거성 표지로서의 특성
-
도정업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인문논총,
v.78,
2021,
pp.187-22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