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전통차코너 - 한국의 다서
-
박동춘;
한국화재보험협회;
(防災와 保險,
v.80,
1999,
pp.43-45)
-
2.
- 다서(茶書)에 나타난 차의 효능 연구 : 중국과 한국 다서(茶書)를 중심으로
- 김수연
-
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, 국내석사,
vi, 83 p., 2012
-
3.
- 중국·한국·일본 다서(茶書)에 나타난 차 효능 연구
- 윤중숙
-
계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ⅲ, 222, 2020
-
4
-
초의다서 의 出典攷
-
金明培;
;
(도서관,
v.276,
1985,
pp.34-48)
-
5
-
다서(茶書)에서 보는 와카 和歌의 위치
-
Lim, Chansoo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53,
2014,
pp.323-343)
-
6
-
조선 다서(茶書) 연구
-
최혜경;
조선대학교;
(한국차학회지,
v.20,
2014,
pp.44-55)
-
7
-
다서(茶書)에서 보는 와카 和歌의 위치
-
임찬수;
중앙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4,
pp.323-344)
-
8
-
16세기 다서에 나타난 炒製茶 -茶錄과 茶疏를 중심으로-
-
오명진;
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;
(한국차학회지,
v.15,
2009,
pp.39-51)
-
9.
- 조선후기 茶書에 나타난 음다 연구
- 이재영
-
원광대학교, 국내석사,
ii, ii, 91장, 2020
-
10.
- 茶書에 나타난 茶의 藥理的 效能에 관한 硏究 : 朝鮮時代 茶書를 中心으로
- 원종애
-
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0 p., 20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