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<<갈매기>>공연을 통해 본 니나 형상화 과정 연구 : 2004년 예술의 전당 G.지차트콥스키 연출을 중심으로
- 이혜정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ii,87장, 2007
-
2
-
로맹 가리의 여성관계에 대한 분석 - 니나, 레슬리, 진을 중심으로
-
LEE Ye-Hoon;
;
(한국프랑스학논집 = Revue d'etudes françaises,
v.83,
2013,
pp.93-123)
-
3
-
미셸 비나베르의 일상극 연구 - 실내극 《니나》에 나타난 시간과 언어관을 중심으로
-
김경옥;
;
(한국프랑스학논집 = Revue d'etudes françaises,
v.66,
2009,
pp.129-146)
-
4.
- 안톤 체홉의 《갈매기》에 나타난 등장인물들의 갈등양상에 관한 연구 : 니나, 트레플레프 그리고 트리고린의 삼각관계를 중심으로
- 배민희
-
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ⅱ, 75 p., 2007
-
5
-
'갈매기' 4막의 니나 인물 구축 연구 : 경계선 성격장애와 케이티 미첼의 즉흥극을 중심으로
-
김정아;
조준희;
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;
동국대학교;
(예술교육연구,
v.16,
2018,
pp.301-320)
-
6
-
영화 <블랙 스완>(2011)에 나타난 분열된 자아: 주인공 니나의 더블들을 중심으로
-
이정화;
경북대학교;
(미국학 논집,
v.45,
2013,
pp.127-144)
-
7
-
치유와 복원의 글쓰기 : 니나 부라우이 Nina Bouraoui의 『나쁜 생각들 Mes mauvaises pensées』을 중심으로
-
이송이;
부산대학교;
(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,
v.86,
2023,
pp.350-376)
-
8
-
에코페미니즘으로 본 똘스또이의 『안나 까레니나 (Анна Каренина)』
-
박미령;
건국대학교;
(동유럽발칸연구,
v.23,
2009,
pp.167-202)
-
9
-
두 극단이 엮어내는 ‘명료한 혼돈’ : 『안나 까레니나』의 대립명제의 사슬
-
이상룡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8,
2006,
pp.165-184)
-
10
-
친환경 실천을 유도하는 커뮤니티 플랫폼 : '에코머니나'
-
김경아;
김지심;
안유정;
김동환;
윤영진;
이재원;
황현아;
명지전문대학 컴퓨터공학과;
명지전문대학 컴퓨터공학과;
명지전문대학 컴퓨터공학과;
명지전문대학 컴퓨터공학과;
명지전문대학 컴퓨터공학과;
명지전문대학 컴퓨터공학과;
명지전문대학 컴퓨터공학과;
(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,
v.2023,
2023,
pp.655-6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