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17~18세기 네덜란드와 영국의 인형집 - 젠더, 가정, 소설
-
정희원,;
;
(人文 論叢 : 서울大學校,
v.76,
2019,
pp.79-109)
-
2
-
내일은 없다 소설의 서사구조 분석
-
김장겸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남아연구,
v.14,
2005,
pp.63-87)
-
3
-
명화 소재 소설 속에 나타나는 하녀상의 영화적 변용 - ⟨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⟩를 중심으로 -
-
하혜주;
명지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4,
2022,
pp.331-350)
-
4.
- J.M. 쿳시의『어둠의 땅』에 나타난 식민주의/제국주의
- 심은희
-
全北大學校, 국내석사,
iii, 81장, 2008
-
5
-
네덜란드 이주민문학에 나타난 혼종성 hybriditeit과 정체성의 정치 - 까더르 압돌라의『초상들과 오랜 꿈』을 중심으로
-
문지희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36,
2009,
pp.145-169)
-
6.
- 조셉 콘래드의 『어둠의 심연』 (Heart of Darkness)에 나타난 제국주의와 가정 이데올로기
- 한유지
-
중앙대학교, 국내석사,
i, 68장, 2018
-
7
-
최근 인도네시아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
-
고영훈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32,
2008,
pp.9-30)
-
8
-
다니엘 디포우의 『록새너』: 자본주의적 욕망과 기독교적 양심의 갈등
-
Lim Soon-hee;
;
(새한영어영문학 = The New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45,
2003,
pp.93-109)
-
9.
- 『위대한 개츠비』에서 개츠비의 파멸을 통해서 본 미국의 꿈 :
- 임경희
-
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45 p., 2002
-
10.
- Study on the Translation of Yuhua's novel 『Brothers』
- 전영미
-
목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0 p., 20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