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중등과학교사의 유튜버 경험과 정체성에 대한 연구 -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중심으로-
-
신세인;
이준기;
충북대학교;
전북대학교;
(한국과학교육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,
v.42,
2022,
pp.579-595)
-
2.
- 중학교 확률 영역에서 활동중심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그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
- 정상일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40p., 2004
-
3.
- 학교와 지역사회 관계변화에 따른 행정실장의 역할 탐색 : 돌봄 협력사업 사례를 중심으로
- 김순애
-
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ⅸ, 119 p, 2022
-
4.
- 학교 교사들의 사회 정의를 위한 교육 실천의 불/가능성 탐색: 행위적 실재론에 기반하여
- 최유리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24, 2024
-
5.
-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한국현대사 교육의 방안
- 강화정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214 p., 2019
-
6
-
코로나 시대의 교회음악 교육에 대한 소고
-
양정식;
서울신학대학교;
(성경과 신학,
v.97,
2021,
pp.167-188)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