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0건 중 100건 출력
, 1/10 페이지
-
1
-
명재 윤증의 성리설 -인심도심론을 중심으로-
-
남지만;
;
(민족문화,
v.37,
2011,
pp.63-84)
-
2
-
이황, 기대승, 송순의 사단칠정론
-
남지만;
한국고전번역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07,
pp.283-306)
-
3.
- 高峯 奇大升의 性理說 硏究
- 남지만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161 p., 2009
-
4
-
고전번역학의 학적 대상으로서의 고전 개념의 문제
-
남지만,;
;
(민족문화,
v.53,
2019,
pp.147-174)
-
5
-
Study on Cho Ik’s Interpretation of Self Deceiving in The Great Learning
-
남지만,;
;
(民族文化硏究 = Korean cultural studies,
v.78,
2018,
pp.275-296)
-
6
-
高峰 奇大升의 四七說 중 ‘氣發’의 의미변화-理氣의 氣에서 氣質의 氣로-
-
남지만;
고려대학교;
(孔子學,
v.0,
2007,
pp.5-23)
-
7
-
조선 주자학의 안팎을 구분하는 기대승의 전후기 성리설 -이황; 이항ㆍ노수신과의 논변을 중심으로-
-
남지만;
고려대학교;
(태동고전연구,
v.0,
2009,
pp.195-226)
-
8
-
퇴계 호발설의 ‘七情氣發’에 대한 고봉의 비판과 수용
-
남지만;
한국고전번역원;
(동양철학,
v.0,
2010,
pp.45-72)
-
9
-
명재 윤증의 성리설 -인심도심론을 중심으로-
-
남지만;
한국고전번역원;
(민족문화,
v.37,
2011,
pp.63-84)
-
10
-
이황, 기대승, 송순의 사단칠정론
-
남지만;
한국고전번역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07,
pp.283-30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