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『소학』의 체제와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: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와 비교를 중심으로
- 나선엽
-
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113p., 2001
-
2.
- 미술관에서 도슨트 활동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
- 나선엽
-
경인교육대학교, 국내박사,
vi, 185 p., 2019
-
3.
- 자화상 감상수업을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 연구 : 국내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
- 나선엽
-
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75, 2015
-
4
-
Post-museum as an art of daily life: Focusing on Streetmuseums
-
나선엽,;
;
(미술교육연구논총 = Journal of art education,
v.49,
2017,
pp.47-72)
-
5
-
미디어아트 전시에서 작품과 관람객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-‘감각의 소통: 미디어 아트’ 전을 중심으로-
-
나선엽;
안금희;
경인교육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(미술교육연구논총,
v.60,
2020,
pp.253-276)
-
6
-
FSA 사진의 시각문화적 의미 연구 :잊혀진 사람(The Forgotten Man)의 이미지를 중심으로
-
나선엽;
이상은;
상명대학교;
상명대학교;
(현대사진영상학회 논문집,
v.26,
2023,
pp.23-42)
-
7
-
A Study on the Role of Docent and its Educational meaning in college art exhibitions with local communities: Focusing on’ From the beginning’exhibition
-
나선엽,;
Keum-Hee Ahn,;
;
(미술교육연구논총 = Journal of art education,
v.54,
2018,
pp.81-108)
-
8
-
미술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실천 방안 탐색
-
최은영;
나선엽;
임혜원;
공완욱;
이주연;
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박사과정;
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박사과정;
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박사과정;
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박사과정;
경인교육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17,
pp.195-216)
-
9
-
A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collecting and exhibition practices: Focusing on participatory exhibition
-
나선엽,;
Keum-Hee Ahn,;
;
(미술교육연구논총 = Journal of art education,
v.51,
2017,
pp.109-146)
-
10
-
일상의 예술화로서 포스트 뮤지엄 - 스트리트뮤지엄을 중심으로 -
-
나선엽;
광명초등학교;
(미술교육연구논총,
v.49,
2017,
pp.47-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