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이주노동자의 현실과 상생을 위한 모색 - 『나마스테』를 중심으로
-
조구호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52,
2011,
pp.289-314)
-
2
-
『나마스테』에 나타난 정치성 연구
-
Pak, Young-mi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13,
2013,
pp.181-206)
-
3.
- 박범신의 『나마스테』연구
- 김혜원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83 p., 2016
-
4
-
『나마스테』를 통해 본 공통성과 소통
-
Heo, Jung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54,
2013,
pp.65-103)
-
5
-
『나마스테』에 나타난 외국인 노동자의 재현 양상
-
홍원경;
;
(다문화콘텐츠연구 = Journal of multi-cultural contents studies,
v.2009,
2009,
pp.153-177)
-
6
-
소설 ‘나마스테’에 드러나는 다문화주의 수용의 한계
-
조성희;
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17,
2011,
pp.283-307)
-
7
-
상상된 공감, 소통의 시학 - 『나마스테』에 나타난 법과 인권의 문제를 중심으로
-
엄미옥;
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16,
2010,
pp.183-209)
-
8.
- 소수자 이해를 위한 다문화시대의 소설교육 연구 : 『나마스테』,『마당을 나온 암탉』을 중심으로
- 이승연
-
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90 p., 2011
-
9
-
지향성으로 본 탈식민적 페미니즘의 서발턴 연구-박범신의 「나마스테」를 중심으로-
-
이미화;
부산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7,
pp.349-378)
-
10
-
Qualitative change in the shape of migrant workers: from affection to human rights - Focusing on “Namaste” -
-
MA, MIN;
;
(春園硏究學報 = Journal of Kwangsoo Lee research,
v.12,
2018,
pp.201-2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