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작가초대석-방각본 살인사건 펴낸 한남대학교 김탁환교수
-
조갑준;
대한인쇄문화협회;
(프린팅코리아 = Printing Korea,
v.2,
2003,
pp.76-79)
-
2
-
김탁환 『나, 황진이』의 서사담론 연구
-
김종호;
상지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6,
pp.177-204)
-
3
-
A Study on Kim Tak-hwan’s Baektap Series
-
Oh, Heyjine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76,
2018,
pp.235-259)
-
4
-
김탁환의 백탑파 시리즈에 대한 고찰
-
오혜진;
남서울대학교;
(어문론집,
v.76,
2018,
pp.235-259)
-
5
-
낭만적 사랑의 환타지와 근대의 조우, 김탁환의 『리심』과 신경숙의 『리진』
-
황도경;
;
(여/성이론 = Journal of feminist theories and practices,
v.17,
2007,
pp.162-182)
-
6
-
A Research on Traditional Records and Storytelling in Digital Times
-
김탁환;
;
(국학연구,
v.12,
2008,
pp.291-312)
-
7
-
異物 기록의 정치학 - 志怪의 讀法과 김탁환의 『부여현감귀신체포기』
-
최진아;
;
(中語 中文學,
v.46,
2010,
pp.111-125)
-
8
-
2010년대 ‘증언 문학’의 미학적 특성 고찰 -한강의 『소년이 온다』, 김숨의 『L의 운동화』, 김탁환의 『거짓말이다』를 중심으로-
-
오태호;
경희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25,
2021,
pp.269-293)
-
9
-
동아시아 근대의 다문화적 체험과 팩션 - 김탁환의 파리의 조선 궁녀 리심을 중심으로 -
-
김미영;
한양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0,
pp.257-286)
-
10
-
풍경과 감정, 팩션의 가치있는 지점들 : 김탁환의 ⟨리심⟩과 신경숙의 ⟨리진⟩
-
김정숙;
충남대학교;
(페미니즘연구,
v.7,
2007,
pp.351-3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