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[그림책] 들려주는 이야기와 보여주는 이야기의 거리 : 김준철 그림 김중철 엮음 『메기의 꿈』웅진주니어 2008
-
강승숙;
;
(창비어린이,
v.6,
2008,
pp.296-299)
-
2
-
'미궁'으로서의 소설과 이야기의 진실-이승우의 「미궁에 대한 추측」읽기
-
김중철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5,
2004,
pp.309-328)
-
3
-
영화 〈릴라 릴라(Lila, Lila)〉를 통해 본 거짓과 진실과 글쓰기
-
Kim, Joong-Chul;
;
(사고와 표현 = Ratio et oratio,
v.6,
2013,
pp.195-204)
-
4
-
소설에 나타난 영화 체험의 양상과 그 재현의 의미 - 강영숙의 「어떤 싸움」과 윤성희의 「공기 없는 밤」을 중심으로
-
김중철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50,
2012,
pp.367-387)
-
5
-
자연그림책 서술방식과 자연관
-
김중철;
;
(창비어린이,
v.2,
2004,
pp.60-71)
-
6
-
매체의 전이와 이야기의 변형 - 「갯마을」을 중심으로
-
김중철;
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10,
2004,
pp.257-280)
-
7
-
영화 〈일 포스티노〉와 〈시〉에 나타난 ‘글쓰기’의 의미
-
김중철;
;
(문학과 영상=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,
v.12,
2011,
pp.665-686)
-
8
-
소설적 소재로서의 영화
-
김중철;
;
(문학과 영상=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,
v.3,
2002,
pp.39-58)
-
9
-
영화를 통한 공학교육과 인문학의 만남
-
김중철;
안양대학교 교양대학;
(공학교육연구 =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,
v.18,
2015,
pp.57-63)
-
10
-
영화를 통해 본 ‘쓰기’의 의미 - 영화 〈시〉를 중심으로
-
김중철;
;
(韓國民族文化,
v.2010,
2010,
pp.391-40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