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60건 중 360건 출력
, 1/36 페이지
-
1
-
김종길 시의 자연의 성격과 감각의 기능
-
김문주;
영남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17,
pp.95-120)
-
2.
- 김종길 시 연구
- 이재란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6
-
3
-
김종길 시의 방법과 주제
-
한영옥;
;
(돈암語文學 = The Sungshi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7,
2004,
pp.163-189)
-
4.
- 김종길 시의 '家'의식 형성과 전개 양상
- 윤정미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iv, 93 p., 2020
-
5.
- 김종길 시에 나타난 자연의 의미 연구
- 남궁선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125 p., 2018
-
6
-
예이츠와 김종길 시에 나타난 ‘비극적 환희’
-
Cho, Jung-Myung;
;
(한국예이츠저널 = The Yeats Journal of Korea,
v.57,
2018,
pp.207-218)
-
7.
- 고석규와 김종길 비평의 해석학적 연구 : 영미 신비평의 주체적 수용을 중심으로
- 박현익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73p, 2024
-
8
-
김종길이 읽은 육사, 육사를 읽은 김종길 - 육사 수용을 통해 본 김종길 시론의 출발과 전개
-
허윤;
서울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22,
pp.251-282)
-
9
-
미래를 바라보는 사회학적 개념의 창 : 『디지털 한국 사회의 이해』 김종길(덕성여대)ㆍ김문조(고려대)(2006년 집문당)
-
이재열;
;
(한국사회학 = Korean journal of sociology,
v.40,
2006,
pp.255-261)
-
10
-
전라남도 영광 출신의 명창/명고 김종길의 생애와 예술
-
이용식;
전남대학교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24,
pp.93-11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