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책, 나의 발견, 그리고 치유
-
김순화;
;
(디지틀 도서관 = Digital library,
v.58,
2010,
pp.10-31)
-
2
-
주부의 마음 상함과 독서치료 : 울산지역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
-
김순화;
;
(國會圖書館報 = National Assembly Library review,
v.43,
2006,
pp.58-70)
-
3
-
울산남부도서관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 결과
-
김순화;
울산남부도서관;
(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,
v.36,
2005,
pp.195-217)
-
4
-
우리나라 시지역 공공도서관의 시설과 인적현황에 대한 질적 분석 - 백두시를 중심으로
-
김정근;
김순화;
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(圖書館學論集 =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,
v.26,
1997,
pp.333-363)
-
5
-
독서치료프로그램 운영 사례 - 울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-
-
김순화;
울산중부도서관;
(한국비블리아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,
v.17,
2006,
pp.161-181)
-
6
-
창의적 글쓰기 발상 시 전문 영역의 지식이 좌측 측두엽의 EEG 알파파 억제에 미치는 영향
-
김순화;
송기상;
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;
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;
(인지과학 =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,
v.21,
2010,
pp.409-427)
-
7
-
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
-
김순화;
함성진;
송기상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,
v.18,
2015,
pp.105-114)
-
8
-
영재 교육을 위한 전뇌 이론 기반 협동학습의 정의적 효과 분석
-
김순화;
송기상;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정보영재교육;
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;
(英才敎育硏究 = Journal of gifted/talented education,
v.21,
2011,
pp.255-268)
-
9
-
체험형 독서치료란 무엇인가?
-
김정근;
신주영;
김순화;
김수경;
책읽기를 통한 정신치료연구실;
책읽기를 통한 정신치료연구실;
책읽기를 통한 정신치료연구실;
책읽기를 통한 정신치료연구실;
(圖書館文化 = KLA journal,
v.49,
2008,
pp.66-83)
-
10
-
융합적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학생용 CT 기반 융합인재교육(CT-STEAM) 프로그램 개발
-
함성진;
김순화;
박세영;
송기상;
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;
대전교육과학연구원(대전상대초등학교);
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;
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;
(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,
v.17,
2014,
pp.81-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