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77건 중 977건 출력
, 1/98 페이지
-
1.
- 명∙청 교체기 김상헌의 중국체험과 시세계
- 유자읍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석사,
iv, 115 p., 2024
-
2.
- 김상헌의 『남사록』 연구
- 왕소명
-
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6, 2007
-
3
-
제주의 고유 ‘개[浦]’ 이름 - 김상헌 『남사록(南槎錄)』의 대응 표기를 중심으로
-
오창명;
;
(지명학 = Journal of the place name society of Korea,
v.15,
2009,
pp.109-137)
-
4
-
청음 김상헌의 경세사상
-
송희경;
;
(양명학,
v.0,
2015,
pp.253-280)
-
5
-
청음(淸陰) 김상헌(金尙憲) 가계의 도원관(桃源觀)과 진경산수의 관련성
-
임희숙;
;
(한국학,
v.44,
2021,
pp.169-199)
-
6
-
안동체류기에 있어서 청음 김상헌의 활동과 문학
-
황만기,;
;
(국학연구,
v.20,
2012,
pp.497-526)
-
7
-
Kim Sang-heon’s Perception of the East Asian Situation and an Argument of Anti-Capitulation
-
Woo, Kyung-sup;
;
(韓國思想史學,
v.67,
2021,
pp.317-350)
-
8
-
두 조선 사행의 외교 활동과 명의 대응 -1627년의 김상헌과 1637년의 김육-
-
홍성구;
경북대학교;
(대구사학,
v.148,
2022,
pp.183-214)
-
9
-
청음 김상헌의 경세사상
-
송희경;
대전지족고등학교 교사;
(양명학,
v.0,
2015,
pp.253-280)
-
10
-
청음 김상헌의 공부론 연구
-
강동호;
제주대학교;
(교육사상연구,
v.36,
2022,
pp.1-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