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제헌국회의 계엄령 헌법화와 계엄법안의 차별화
-
김무용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49,
2012,
pp.335-374)
-
2
-
해방 후 조선공산당의 통일전선과 좌우합작운동
-
김무용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11,
2001,
pp.257-318)
-
3
-
해방 후 조선공산당의 노선과 조선인민공화국(1945.8~1945.12)
-
김무용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9,
2000,
pp.337-383)
-
4
-
해방직후 조선공산당의 노선과 공장관리운동
-
김무용;
;
(역사연구,
v.1995,
1995,
pp.87-171)
-
5
-
[노동사특집] 한국 노동자계급의 경험과 집단기억, 저항과 순응의 공존
-
김무용;
;
(역사연구,
v.2002,
2002,
pp.7-51)
-
6
-
1970년대 청계피복노동조합운동의 젠더화와 문화투쟁
-
김무용;
;
(역사연구,
v.2011,
2011,
pp.39-94)
-
7
-
해방후 9월총파업의 지역별 전개와 성격
-
김무용;
;
(역사연구,
v.2000,
2000,
pp.161-268)
-
8
-
해방 후 조선공산당의 신전술 채택과 당면과제
-
김무용;
;
(역사연구,
v.1997,
1997,
pp.213-321)
-
9
-
해방 직후 노동자 공장관리위원회의 조직과 성격
-
김무용;
;
(역사연구,
v.1994,
1994,
pp.81-145)
-
10
-
과거청산 작업에서 진실말하기와 대항 내러티브 주체의 형성
-
김무용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1,
2011,
pp.191-2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