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臺山 金邁淳의 <<篆餘日錄>> 譯注
- 김현민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249 p., 2020
-
2
-
대산(臺山) 김매순(金邁淳)의 성리설(性理說) 연구- 호락논쟁(湖洛論爭)의 주요 쟁점에 유의하여 -
-
박학래;
군산대학교;
(유학연구,
v.44,
2018,
pp.1-34)
-
3
-
대산(臺山) 김매순(金邁淳)의 성리설(性理說) 연구- 호락논쟁(湖洛論爭)의 주요 쟁점에 유의하여 -
-
박학래;
군산대학교;
(유학연구,
v.44,
2018,
pp.1-34)
-
4
-
經臺 金尙鉉의 교유시에 대한 일고찰
-
김용태;
성균관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21,
pp.445-478)
-
5.
- 臺山 金邁淳의 學問과 散文 硏究
- 이규필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, 336p., 2011
-
6
-
『闕餘散筆』의 학술적 가치와 譯註의 의의
-
박재영;
한국고전번역원;
(고전번역연구,
v.0,
2022,
pp.231-272)
-
7
-
서유구의 명물고증에 대하여 - ⟨程瑤田九穀攷辨⟩을 중심으로-
-
부유섭;
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;
(漢文學報,
v.51,
2024,
pp.205-248)
-
8.
- 19世紀 韓國 散文選集 硏究
- 자스망 케빈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박사,
v, 181 p., 2025
-
9.
- 다산 정약용의 상서 연구와 『매씨서평』
- 양현정
-
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ⅱ, 35 p., 2010
-
10
-
『西淵聞見錄』에 보이는 淵泉 洪奭周
-
김새미오;
성균관대학교;
(漢文學報,
v.18,
2008,
pp.1131-116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