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72건 중 972건 출력
, 1/98 페이지
-
1
-
김동명 시에 나타난 기원 양상 연구
-
심은섭;
가톨릭관동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51,
2016,
pp.35-70)
-
2.
- 초허 김동명 문학 연구
- 엄창섭
-
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문학전공, 국내박사,
159 p, 1986
-
3
-
김동명 초기시 연구 - 첫 시집 『나의 거문고』 시기를 중심으로
-
전도현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39,
2011,
pp.129-158)
-
4
-
김동명 시의 비유 구성 방법 연구 - 발굴작을 포함한 초기시를 중심으로
-
전도현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43,
2012,
pp.157-184)
-
5
-
‘Loss’, ‘Resistance’, and Kim Dong-myeong’s Poetry World
-
Shim, Eunseob;
;
(인문사회 21 =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,
v.10,
2019,
pp.653-664)
-
6.
- 김동명의 시 연구
- 鄭士運
-
忠南大學校, 국내석사,
ii, 62 p., 1999
-
7
-
A Study on the Botanical Imagination in Kim Dong-myeong’s poems
-
Shim, Eun-Sub;
;
(국제한인문학연구 = Journal for oversea korean literature,
v.27,
2020,
pp.90-115)
-
8.
- 김동명 시에 수용된 의식에 관한 연구
- 권순인
-
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, 35 p., 1995
-
9
-
김동명 시의 탈식민주의와 분열증적 사유의 의미 - <三八線>, <하늘>, <眞珠灣>을 중심으로
-
국원호;
최도식;
강원대학교(삼척캠퍼스);
강원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21,
pp.241-276)
-
10
-
김동명 초기시 연구 - 첫 시집 『나의 거문고』 시기를 중심으로*-
-
전도현;
고려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1,
pp.129-1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