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금장태 지음, 『유학 사상과 유교 문화』, 전통문화연구회, 1995년, 311쪽
-
곽신환;
;
(哲學,
v.47,
1996,
pp.335-341)
-
2
-
[이 책을 말한다]금장태의 『조선 전기의 유학사상』
-
황의동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,
1998,
pp.180-185)
-
3
-
[이 책을 말한다] 몸의 주인인 마음, 그 마음에 대해서 - 금장태 지음,『한국유학의 심설』(서울대학교출판부, 2002)
-
이상호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9,
2003,
pp.337-343)
-
4
-
송영배ㆍ금장태 외 지음, 『한국유학과 리기철학』 예문서원(2000)
-
이상호;
;
(哲學,
v.71,
2002,
pp.281-285)
-
5
-
중인층의 민족종교활동
-
금장태;
;
(韓國文化,
v.9,
1988,
pp.265-291)
-
6
-
<대학도>와 퇴계의 《대학》체계 인식
-
금장태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1999,
1999,
pp.1-33)
-
7
-
朝鮮後期 儒學ㆍ西學間의 敎理論爭과 思想的 性格
-
금장태;
;
(敎會史硏究 = Research journal of Korean church history,
v.2,
1979,
pp.89-137)
-
8
-
역학의 이해와 한국문화
-
금장태;
;
(세종학연구,
v.4,
1989,
pp.39-64)
-
9
-
유교문화의 특성과 그 보편적 의미
-
금장태;
;
(歷史 學報,
v.163,
1999,
pp.543-545)
-
10
-
『醇言』과 栗谷의 老子 이해
-
금장태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2005,
2005,
pp.169-23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