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3건 중 173건 출력
, 1/18 페이지
-
1
-
새로 발굴한 고시조집 '고금명작가' 연구
-
구사회;
박재연;
선문대 국어국문학과;
선문대 중국어학과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1,
2004,
pp.47-76)
-
2
-
금명 보정(錦溟寶鼎)의 전통 인식과 교화 활동
-
김경집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보조사상,
v.0,
2022,
pp.139-170)
-
3
-
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기대와 예상의 차이
-
금명자;
;
(韓國心理學會誌 : Th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psychology/ 相談및 心理治療,
v.19,
2007,
pp.843-861)
-
4
-
경북 문경시 금명효 민요 가창자 연구
-
최자운;
세명대학교;
(한국민요학,
v.63,
2021,
pp.333-354)
-
5.
- 錦溟寶鼎의 禪사상과 茶詩에 대한 硏究
- 김창배
-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, 국내박사,
ix, 116 p., 2018
-
6
-
금명보정(錦溟寶鼎)의 시에 나타난 불교적 사유
-
정영식;
고려대장경연구소;
(문화와 예술연구,
v.9,
2017,
pp.13-39)
-
7
-
금명 보정(錦溟寶鼎)의 전통 인식과 교화 활동
-
김경집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보조사상,
v.0,
2022,
pp.139-170)
-
8
-
학교밖청소년의 진로적응 척도 개발
-
금명자;
주영아;
이자영;
김태성;
김상수;
신현수;
;
(韓國心理學會誌 : Th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psychology/ 相談및 心理治療,
v.20,
2008,
pp.635-655)
-
9
-
우리나라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
-
금명자;
대구대학교;
(한국심리학회지 :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. 문화 및 사회문제,
v.14,
2008,
pp.299-317)
-
10
-
『질의록(質疑錄)』에 나타난 금명보정(錦溟寶鼎)의 불교인식과 정토관
-
김성순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보조사상,
v.0,
2017,
pp.75-10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