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19건 중 519건 출력
, 1/52 페이지
-
1
-
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에 나타난 아이 소외
-
안지성;
이현경;
조희숙;
;
(열린유아교육연구 =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,
v.16,
2011,
pp.135-160)
-
2
-
우리 아이 책꽂이에는 어떤 그림책이?
-
김남중;
;
(창비어린이,
v.4,
2006,
pp.202-207)
-
3
-
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미래지향적인 아이상 탐색
-
김선희;
지은주;
조희숙;
;
(어린이미디어연구 = Korean journal of children's media,
v.9,
2010,
pp.259-281)
-
4
-
[그림책으로 읽는 아이들 마음(2)] 아이와 함께 자라는 아이의 꿈
-
서천석;
;
(창비어린이,
v.10,
2012,
pp.220-234)
-
5.
- 우리 문화 그림책 ' 소찾는 아이' 창작 과정
- 김종민
-
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6p, 2007
-
6
-
한국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아이의 성장 - 인물 유형과 퀘스트 모티프를 중심으로 -
-
지은주;
조희숙;
김선희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유아교육연구,
v.30,
2010,
pp.125-145)
-
7
-
Anthony Browne 그림책에 나타난 아이의 자기대상과의 관계 분석
-
이란;
현은자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4,
pp.361-400)
-
8
-
그림책의 파라텍스트에 나타난 번역전략: 『코끼리 아이』를 중심으로
-
이강선;
성균관대학교;
(번역학연구,
v.17,
2016,
pp.175-200)
-
9
-
[그림책으로 읽는 아이들 마음(3)] 아이 스스로 탑을 쌓을 때까지
-
서천석;
;
(창비어린이,
v.11,
2013,
pp.157-169)
-
10
-
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'빗속의 아이' 그림반응특성에 관한 연구
-
김순란;
최외선;
;
(미술치료연구,
v.11,
2004,
pp.185-20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