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중학교 고전소설 교육의 지향과 방법 : '환상성'과 '상호소통성'을 중심으로
-
권순긍;
;
(泮橋語文硏究,
v.21,
2006,
pp.395-418)
-
2
-
抗日義兵의 문학적 형상화
-
권순긍;
;
(泮橋語文硏究,
v.19,
2005,
pp.131-156)
-
3
-
<裵裨將傳>의 풍자와 제주도
-
권순긍;
;
(泮橋語文硏究,
v.14,
2002,
pp.49-61)
-
4
-
남한강의 문학지리와 로컬리티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어문연구,
v.100,
2019,
pp.85-115)
-
5
-
지방대학 '國語國文學科'의 개편과 전망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4,
pp.37-67)
-
6
-
한국 고소설과 중국 湖南지역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漢文學報,
v.19,
2008,
pp.283-299)
-
7
-
기획논문:<토끼전>의 매체변환과 존재방식 /논평:최호석(고려대)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6,
pp.61-88)
-
8.
- 1910년대 活字本 古小說 硏究 : 그 改作.新作의 歷史的 性格
- 권순긍
-
成均館大學校, 국내박사,
172p., 1991
-
9
-
[기조강연] 근대의 충격, 고전서사의 대응과 모색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24,
pp.9-48)
-
10
-
20세기 초 활자본 고소설 연구의 지평과 전망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3,
pp.43-7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