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궁궐 및 조선왕릉 문화재 보수·관리 발전방안 연구 : 관리운영조직을 중심으로
- 김수연
-
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, 국내석사,
99 p., 2015
-
2.
- 韓國 建造物 文化財 保存史에 關한 硏究 : 1910년 이후 수리된 목조건조물을 중심으로
- 조현정
-
명지대학교, 국내석사,
131 p., 2005
-
3
-
조선 개창기의 한양도성과 경복궁에 대한 역사 고찰 - 태조실록에서 지워버린 고려의 한양도성과 한양 궁궐의 역사를 중심으로 -
-
김성도;
국가유산청;
(대한건축학회논문집,
v.40,
2024,
pp.137-148)
-
4.
- 서울 5대 궁궐 진입공간의 특성비교연구
- 김선미
-
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xiv, 107 p., 2009
-
5.
- 창경궁 명정전 건축 구조 및 의장 특성에 관한 연구
- 두다운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xii, 168 p., 2010
-
6.
- 17세기이후 궁궐단청기법의 재현을 위한 시험연구
- 구욱희
-
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xiii, 283 p., 2016
-
7
-
창덕궁 도배에 사용된 문양지의 지질 및 안료 연구
-
김지원;
손하늘;
조규혁;
정선화;
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연구원;
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연구원;
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연구원;
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학예연구사;
(헤리티지: Korean journal of Heritage: 역사와 과학,
v.57,
2024,
pp.136-151)
-
8
-
조선시대 궁궐 도배지 특성 연구- 경복궁, 창덕궁, 칠궁을 중심으로 -
-
김지원;
김지선;
김명남;
정선화;
국립문화재연구원;
국립문화재연구원;
국립문화재연구원;
국립문화재연구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6,
2023,
pp.80-97)
-
9
-
영건의궤 기록을 활용한 조선후기 국용목재의 주요 수종 조사 및 해부학적 특징
-
LEE, Hyun Mi;
BAE, Jae Soo;
Division of Wood Engineering,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;
Department of Future Forest Stately,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;
(목재공학 =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,
v.49,
2021,
pp.462-470)
-
10
-
조선시대 궁궐 도배지 특성 연구 - 경복궁, 창덕궁, 칠궁을 중심으로 -
-
김지원;
김지선;
김명남;
정선화;
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6,
2023,
pp.80-9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