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광학식 표면스캐닝 및 X-선 CT를 활용한 유물의 3차원 융합모델 제작: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삼총통
-
조영훈;
김다솔;
김해솔;
허일권;
송민규;
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;
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;
국립진주박물관 보존과학실;
국립진주박물관 보존과학실;
(주)쓰리디산업영상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22,
2019,
pp.15-26)
-
2
-
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출토 비격진천뢰의 제작기법과 보존처리
-
김해솔;
허일권;
국립진주박물관 학예연구실;
국립진주박물관 학예연구실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24,
2020,
pp.17-36)
-
3
-
대구 달성 55호분 출토 삼엽문이자태도의 재보존처리와 제작 기법 연구
-
이희성;
허일권;
노지현;
박승원;
국립대구박물관;
국립진주박물관;
국립부여박물관;
국립대구박물관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24,
2020,
pp.1-16)
-
4
-
조선시대 금속제 탄환의 특징과 제작기법 검토
-
최보배;
이혜진;
김명훈;
정현진;
국립진주박물관;
육군박물관;
국립진주박물관;
국립진주박물관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28,
2022,
pp.65-88)
-
5
-
방사선투과시험에 의한 망이산성 횡장판갑(橫長板甲)의 제작기법 연구
-
김현정;
김미도리;
오광섭;
이양수;
조남철;
국립청주박물관;
국립김해박물관;
국립김해박물관;
국립진주박물관;
국립공주대학교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7,
2006,
pp.11-24)
-
6
-
진주 중천리 출토 인두형토기(人頭形土器)의 보존
-
이현경;
최현욱;
이승리;
곽홍인;
국립진주박물관 보존과학실;
국립진주박물관 보존과학실;
국립고궁박물관 보존과학실;
국립진주박물관 보존과학실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14,
2013,
pp.23-28)
-
7
-
금강사지 치미의 형태적 특징 및 제작기법 비교 연구
-
신연홍;
황현성;
신명희;
허일권;
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;
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;
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;
국립진주박물관 학예연구실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20,
2018,
pp.31-48)
-
8
-
창녕 화왕산성 출토 비격진천뢰(飛擊震天雷)의 보존
-
곽홍인;
황정순;
유혜선;
정광룡;
국립진주박물관;
국립진주박물관;
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;
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7,
2006,
pp.25-31)
-
9
-
조선시대 중완구의 제작 기술
-
허일권;
김해솔;
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;
국립진주박물관 학예연구실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26,
2021,
pp.161-182)
-
10
-
한국선사시대 식생활 -동물성식료-
-
안덕임;
국립진주박물관;
(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=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,
v.3,
1993,
pp.189-19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