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orld History General Education Content in University: Focusing on 'History and the World'
-
Kim, Hyun Jung;
Ryu, Hye Won;
Park, Jin Young;
;
(靑籃史學= Journal of the Chongram Historical Society,
v.39,
2023,
pp.53-96)
-
2
-
대학 필수 교양에서의 세계사 콘텐츠 개발 연구: ⟨역사와 세계⟩를 중심으로
-
김현정;
류혜원;
박진영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;
고려대학교;
(청람사학,
v.39,
2024,
pp.53-96)
-
3
-
Three Didactic Models of Teaching World History for General College Education -World Civilization, Big History, and Primary Documents & Image Critique-
-
Park, Hye-jeong;
;
(歷史 敎育 論集,
v.64,
2017,
pp.3-26)
-
4
-
대학 세계사 교양교육을 위한 세 가지 교수 모델-세계문명사, 빅히스토리, 사료와 이미지 비판-
-
박혜정;
경기대학교;
(역사교육논집,
v.0,
2017,
pp.3-26)
-
5.
-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세계사 교육의 변화
- 정하늘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9 p, 2024
-
6
-
중등 세계사 교육의 목적에 관한 논의
-
박소연;
충남대학교;
(역사교육연구,
v.0,
2019,
pp.195-236)
-
7.
- 최인훈 문학과 ‘아시아’라는 사상
- 장문석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288 p., 2018
-
8
-
근대초기 지식편제와 교양으로서의 소설 - 최남선과 「소년」을 중심으로
-
구장률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41,
2011,
pp.113-140)
-
9
-
21세기 교양교육의 융합학문적 지도 그리기 -빅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을 통하여
-
박혜정;
연세대학교;
(교양교육연구,
v.14,
2020,
pp.25-37)
-
10.
- 김기림 문학 연구 : 비교문학적 관점을 중심으로
- 김한성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278 p., 20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