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방대한 분량의 '괴테전집' 선보여
-
한강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172,
1995,
pp.20-20)
-
2
-
근대화 이후 한국의 괴테 수용 연구 20세기 학문적 수용을 중심으로
-
조우호;
덕성여자대학교;
(코기토,
v.68,
2010,
pp.143-171)
-
3
-
90년대 한국을 찾아왔던 세계의 문학
-
이현주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253,
1999,
pp.13-13)
-
4
-
텍스트의 밀림 속에서-구조책(救助策)으로서의 문헌학
-
이승진;
원광대학교;
(독일어문화권연구,
v.0,
2019,
pp.255-277)
-
5
-
Wekstatt-Welt in poetischer Beleuchtung. Zur Selbstdarstellung in Dichtung und Wahrheit“
-
전영애;
서울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5,
2004,
pp.176-197)
-
6
-
⟨두 개의 모테트⟩ op. 74에 나타난 욥의 고통과 브람스의 신앙
-
황순도;
한국예술종합학교;
(성경과 신학,
v.113,
2025,
pp.65-95)
-
7
-
독일문학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(Ⅰ) - 1958년부터 1968년까지: 창조와 혼란
-
장진길;
;
(카프카연구,
v.20,
2008,
pp.191-212)
-
8
-
러시아 시의 한국어 번역상의 문제
-
김근식;
;
(슬라브 학보,
v.18,
2003,
pp.401-414)
-
9.
- S. 라흐마니노프의 가곡 연구
- 김애연
-
同德女子大學校, 국내박사,
xv, 303 p., 2010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