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공손룡(公孫龍) 철학 이해의 한 방식
-
김철신;
;
(哲學,
v.82,
2005,
pp.47-68)
-
2
-
공손룡의 「통변론(通變論)」 연구
-
강지연;
성균관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11,
pp.355-375)
-
3.
- 공손룡의 정명론 : 제자백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
- 정단비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259 p., 2020
-
4
-
공손룡(公孫龍) 철학 이해의 한 방식
-
김철신;
연세대학교;
(철학,
v.0,
2005,
pp.47-68)
-
5
-
후기묵가의 공손룡 비판 고찰 -사물과 인식의 문제를 중심으로-
-
김철신;
연세대학교;
(철학연구,
v.0,
2008,
pp.21-35)
-
6
-
공손룡의 「통변론(通變論)」 연구
-
강지연;
성균관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11,
pp.355-375)
-
7
-
공손룡과 후기 묵가의 정명론 비교 연구
-
김철신;
순천대학교;
(동서비교문학저널,
v.0,
2004,
pp.9-30)
-
8
-
中國 古代 論辯思潮의 재발견 - 惠施, 公孫龍, 後期墨家를 중심으로
-
김철신;
;
(철학논총,
v.53,
2008,
pp.357-375)
-
9
-
커뮤니케이션학의 관점에서 본 고대중국 전국시대 중엽 궤변가들의 명제에 내포된 사회적 메시지 - 혜시와 공손룡 및 그 일파의 명제를 중심으로
-
박허식;
;
(한국언론학보 =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& communication studies,
v.47,
2003,
pp.170-193, 391-392)
-
10
-
『공손룡자』의 위작 여부 연구 - 직하학파와 오행 사상을 중심으로 -
-
성정홍;
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문화연구소;
(동양철학,
v.0,
2024,
pp.41-7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