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고황경의 삶에 대한 심리전기적 분석
- 지연숙
-
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04p., 2003
-
2
-
바롬 고황경의 교육사상과 체육교육
-
박주한;
서울여자대학교;
(한국체육학회지,
v.42,
2003,
pp.65-76)
-
3
-
일제시기 고황경의 근대체험과 사회사업
-
김성은;
서강대학교;
(이화사학연구,
v.0,
2010,
pp.203-241)
-
4
-
일제시기 고황경의 여성의식과 가정·사회·국가관
-
김성은;
서강대학교 사학과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0,
pp.427-473)
-
5
-
여성지도자와 대학교육
-
고황경;
서울여대;
(大學敎育 = Higher education,
v.13,
1985,
pp.9-12)
-
6
-
Nation Building and Motherhood: Ko Hwang-kyung's Self-Narrative and Women's Enlightenment Movement
-
Jang, Youngeun;
;
(동악어문학 = Journal of Dong-ak Language and Literature,
v.90,
2023,
pp.11-36)
-
7
-
국가 건설과 모성: 고황경의 자기서사와 여성 계몽운동
-
장영은;
성균관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23,
pp.11-36)
-
8
-
서울여자대학의 교육이념과 특성
-
고황경;
서울여대;
(大學敎育 = Higher education,
v.8,
1984,
pp.124-129)
-
9.
- 웹포트폴리오를 이용한 중학교 미술교과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
- 고황경
-
고려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70p., 2001
-
10
-
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과정중심평가 적용 방안 연구
-
고황경;
중흥중학교;
(미술교육연구논총,
v.60,
2020,
pp.79-10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