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루쉰(魯迅)과 어둠의 풍경
-
고점복;
;
(中國 現代 文學 = The Journal of Modern Chinese Literature,
v.2008,
2008,
pp.59-80)
-
2
-
문학과 정치의 기로 ― 마오쩌둥(毛澤東) 혁명의 현실적 승리와 루쉰(魯迅) 혁명의 형이상학적 승리
-
고점복;
고려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20,
pp.81-102)
-
3.
- 魯迅 雜文의 思惟 樣相 硏究 : 認識과 表現의 問題를 中心으로
- 고점복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303 p., 2007
-
4
-
루쉰(魯迅)과 어둠의 풍경
-
고점복;
고려대학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08,
pp.59-80)
-
5
-
The Revolutionary Description of Taboo and Infringement ― A Research for Yan Lian Ke's Wei Renmin Fuwu
-
고점복,;
;
(中國語文論叢 =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46,
2010,
pp.545-568)
-
6
-
The Descriptive Strategy in Consumer Society ― In the Case of 'shentixiezuo' and 'shanzhai'
-
고점복,;
;
(中國學論叢 = Journal of Chinese studies,
v.28,
2010,
pp.205-226)
-
7
-
루쉰과 나쓰메 소세키(夏目漱石)의 근대 주체 탐색― ‘나래주의(拿來主義)’와 ‘자기본위(自己本位)’의 ‘주체 세우기(立人)’ 양상
-
고점복;
고려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20,
pp.143-164)
-
8
-
Lao She’s Er Ma
-
고점복,;
;
(中國語文論叢 =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66,
2014,
pp.465-488)
-
9
-
A Study on Deflection of Civilization & Reconstruction of Artistic Modern
-
고점복,;
;
(中國語文論叢 =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71,
2015,
pp.217-239)
-
10
-
중국 당대문학 속의 에로티즘 ― ‘身體寫作’을 중심으로 ―
-
고점복,;
;
(中國學論叢 = Journal of Chinese studies,
v.36,
2012,
pp.161-1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