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67건 중 267건 출력
, 1/27 페이지
-
1
-
언어적 유토피아의 불편함: 정치적으로 올바른 고전동화의 역설
-
백정국;
숭실대학교;
(아동청소년문학연구,
v.0,
2021,
pp.177-209)
-
2
-
고전소설의 동화적 문법과 해석을 통한 새로운 접근
-
김현화;
충남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23,
pp.35-71)
-
3
-
영어 고전동화와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동ㆍ식물 연구
-
이충수;
한남대학교;
(영어영문학연구,
v.35,
2009,
pp.77-89)
-
4
-
An Inconvenient Truth of Linguistic Utopia: The Paradox of “Politically Correct” Classic Fairy Tales
-
Paik, Jung-kook;
;
(아동청소년문학연구,
v.29,
2021,
pp.177-209)
-
5
-
Succession of the classics and the formation of children’s literature - Focusing on <Tokijeon(토끼전)> -
-
Oh, Hyunsook;
;
(영주어문,
v.51,
2022,
pp.103-135)
-
6
-
A New Approach through Fairy Tale Grammar and Interpretation of Classical Novels
-
Kim, Hyun-hwa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100,
2023,
pp.35-71)
-
7.
- 고전동화책을 활용한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
- 이주현
-
동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03장, 2009
-
8
-
White 착시 현상과 고전적 밝기 동화 현상의 밝기 지각 비교
-
정지연;
정우현;
;
(한국심리학회지: 인지 및 생물,
v.35,
2023,
pp.57-70)
-
9.
- White 착시 현상과 고전적 밝기 동화 현상의 밝기 지각 비교
- 정지연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iii,32 p., 2019
-
10
-
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고전문학 작품 비교 연구 -전래 동화를 중심으로-
-
김서형;
경기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3,
pp.113-1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