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5건 중 105건 출력
, 1/11 페이지
-
1
-
전후문학과 고석규 비평의 의미
-
임영봉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24,
1995,
pp.145-158)
-
2.
- 고석규 비평의 역설 및 상징 연구
- 박현익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8 p., 2016
-
3
-
고석규의 에세이적 글쓰기와 ‘바깥’의 사유
-
김예리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2,
2012,
pp.357-386)
-
4
-
1950년대 고석규 시 연구
-
하상일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3,
2004,
pp.359-379)
-
5.
- 1950년대 고석규 문학의 근대성 연구
- 하상일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124p., 1999
-
6
-
1950년대 고석규 비평의 근대성 연구
-
하상일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04,
2004,
pp.253-282)
-
7
-
《19세기 조선의 향촌사회 연구》 (고석규, 서울대출판부, 1998)
-
鄭震英;
;
(歷史 學報,
v.161,
1999,
pp.221-229)
-
8
-
공포 체험의 시적 변용과 그로테스크의 시-고석규 론-
-
조영복;
;
(한국의 현대문학 : 한국근대장편소설연구,
v.3,
1994,
pp.197-220)
-
9
-
고석규 비평의 수사학적 연구 - 문체론(stylistics)을 중심으로
-
오형엽;
;
(수사학= Korean journal of rhetoric,
v.16,
2012,
pp.121-143)
-
10
-
고석규.고영진 지음 '역사속의 역사 읽기'
-
박남정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199,
1996,
pp.17-1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