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고려시대 의료사 연구
- 이경록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285 p., 2009
-
2
-
고려시대 일본과의 의료 교류와 그 성격 - ‘동아시아의료’의 한 사례 -
-
이경록;
;
(醫史學 : 大韓醫史學會誌,
v.32,
2023,
pp.241-277)
-
3
-
고려시대 官僚制下의 의료와 民間의료
-
이현숙;
건국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7,
pp.7-45)
-
4
-
Medicinal Measures of Changjong(Purulent Diseases) in Goryeo Period
-
Lee, Young Nam;
;
(한국중세사연구,
v.60,
2020,
pp.221-252)
-
5
-
Medical Exchanges Between Koryo and Liao, Song, Jin, and Yuan During the Koryo Dynasty: A Review of the ‘History of Chinese Medicine’ Perspective
-
Lee, Kyung-Rok;
;
(의료사회사연구 = Korean journal of the social history of medicine and health,
v.12,
2023,
pp.135-166)
-
6
-
고려시대 官僚制下의 의료와 民間의료
-
이현숙;
건국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7,
pp.7-45)
-
7
-
『어의촬요』로 본 고려시대의 의료
-
윤성재;
서울여자대학교;
(백산학보,
v.0,
2021,
pp.257-285)
-
8
-
The Existence of Private Medical Personnel during the Koryo Period - Two Types of Professional Medical Workers(業醫) and Intellect Medical Practitioners(知醫) -
-
Lee, Kyung-Rok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97,
2022,
pp.235-265)
-
9
-
의서로 본 고려시대의 瘡瘇 의료방안
-
이영남;
충북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20,
pp.221-252)
-
10
-
고려시대 요(遼)⋅송(宋)⋅금(金)⋅원(元)과의 의료 교류 -‘중국의학’ 중심의 시각에 대한 재검토-
-
이경록;
연세대학교;
(의료사회사연구,
v.12,
2023,
pp.135-1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