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한ㆍ중 연극 교류 현황
-
강영매;
;
(中國語文學論集 =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04,
2004,
pp.371-388)
-
2
-
『牡丹亭』 언어기교의 諧謔性
-
강영매;
;
(中國語文學論集 =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00,
2000,
pp.151-183)
-
3
-
湯顯祖『牡丹亭』에 나타난 '花神'의 意味와 象徵性 고찰
-
강영매;
;
(中國語文學論集 =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1999,
1999,
pp.311-330)
-
4
-
『春香傳』과 『牡丹亭』의 「千字文」 수용양상
-
강영매;
;
(中國語文學論集 =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03,
2003,
pp.549-567)
-
5.
- 소동파 폄적시기 생활양상과 사유방식 연구
- 강영매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00 p., 2014
-
6.
- 湯顯祖 <<牧丹亭>> 硏究
- 강영매
-
延世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vii, 298 p., 2001
-
7
-
탕현조 (湯顯祖) 《 목단정 (牧丹亭) 》의 시 , 공간구조
-
강영매;
서강대학교;
(중국어문학지,
v.0,
2001,
pp.65-87)
-
8
-
杜甫家训诗的教育思想研究
-
두서증;
강영매;
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;
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;
(건지인문학,
v.0,
2019,
pp.33-60)
-
9
-
申遗背景下中韩书院发展源流对比研究
-
두서증;
강영매;
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;
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;
(건지인문학,
v.0,
2019,
pp.5-30)
-
10
-
탕현조 (湯顯祖) 《 목단정 (牧丹亭) 》의 시 , 공간구조
-
강영매;
서강대학교;
(중국어문학지,
v.0,
2001,
pp.65-8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