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민주화 이후의 노동과 복지의 정치
-
강명세;
;
(國會圖書館報 = National Assembly Library review,
v.44,
2007,
pp.33-42)
-
2
-
기획시리즈 세계의 사회운동7-네델란드의 신정치운동: 평화운동
-
강명세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30,
1996,
pp.88-108)
-
3
-
한국의 보수화 회귀와 진보세력의 선택
-
강명세;
;
(동향과 전망,
v.72,
2008,
pp.182-214)
-
4
-
자본주의 발전모델 비교연구 - 노사정을 중심으로
-
강명세;
;
(亞細亞 硏究,
v.50,
2007,
pp.233-267, 282)
-
5
-
지역주의 정치와 한국정당체제의 재편?
-
강명세;
;
(한국정당학회보 = Korean party studies review,
v.4,
2005,
pp.249-270)
-
6
-
재분배의 정치경제 - 권력자원 대 정치제도
-
Miongsei Kang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47,
2013,
pp.71-94, 466)
-
7
-
한국형 복지체제의 특성 - OECD 국가들과의 비교 분석
-
강명세;
;
(亞細亞 硏究,
v.50,
2007,
pp.95-127, 228)
-
8
-
정서적 양극화, 정책인가 아니면 정당인가: 2020 미대선 사례
-
강명세;
세종연구소;
(Analyses & alternatives = 분석과 대안,
v.6,
2022,
pp.79-115)
-
9
-
한국이 복지국가가 되지 못하는 이유, 정치가 문제였다 강명세, 『민주주의, 복지국가, 그리고 재분배』(도서출판 선인, 2014)
-
윤홍식;
인하대학교;
(경제와 사회,
v.0,
2014,
pp.407-412)
-
10.
- Labor organization and macroeconomic peformance in the OECD countries
- 강명세
-
University of California, Berkeley, 국외박사,
1v.(various pagings), 199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