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"강등학(姜騰鶴) 저(著), 정선(旌善) 아라리의 장르수행(遂行)에 관(關)한 연구
-
김대행;
;
(국어국문학,
v.98,
1987,
pp.268-269)
-
2
-
〔자료 2〕 : 한국 민요학 관계 문헌목록 : 1990-1999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8,
2000,
pp.259-288)
-
3
-
〈정자소리〉의 분포와 장르양상에 관한 연구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29,
2010,
pp.7-62)
-
4
-
〈모심는소리〉와〈논매는소리〉의 전국적 판도 및 농요의 권역에 관한 연구
-
강등학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38,
2003,
pp.15-91)
-
5
-
1945년 이전시기 통속민요 아리랑의 문화적 성격과 가사의 주제양상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21,
2007,
pp.23-52)
-
6
-
경북지역 〈논매는소리〉의 기초적 분석과 지역적 판도
-
강등학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40,
2004,
pp.217-251)
-
7
-
아라리의 사설양상과 창자집단의 정서적 지향에 관한 계량적 접근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7,
1999,
pp.5-18)
-
8
-
고정옥의 민요연구에 대한 검토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4,
1996,
pp.23-38)
-
9
-
충남 민요의 축제활용을 위한 방향 모색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6,
1999,
pp.7-20)
-
10
-
민요 후렴의 현장론적 이해
-
강등학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26,
1994,
pp.5-25)